홈으로

항공정비란?

항공기 또는 장비품의 지속적인 감항성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의미하며 ‘정비’와 ‘정비업무’를 포함하는 모든 행위

※ 정비 : 오버홀, 수리, 검사, 교환, 개조 및 결함수정 등의 행위
※ 정비업무 : 정비계획의 수립·시행, 기술·통제 및 품질관리, 정비 예산편성·집행, 자재관리, 정비사 교육훈련 등의 업무
※ 감항성 : 정비·수리·개조 된 항공기·발동기 장비품 또는 부품에 대해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성능
※ 감항성 유지란 :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

항공정비 수행능력

국내 국가항공기 운영기관 최초로 항공품질경영시스템(AS 9110) 인증

※ 항공품질경영시스템(AS 9110) : 항공우주분야에서 요구되는 특수 요구사항을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 모델에 추가시켜 영국의 국제항공품질그룹에서 개발한 품질경영시스템 규격

  • AS 9110 인증서
    AS 9110 인증서

    AS 9110 인증서

  • AS9110(항공품질경영시스템)인증획득
    AS9110(항공품질경영시스템)인증획득

    AS9110(항공품질경영시스템)인증획득

산림항공본부 정비수행 능력
비행시간, 착륙 횟수 및 항공기 기령등을 기준으로 10일 점검, 15시간 점검, 50시간 점검, 100시간 점검부터 300~1000시간 점검, 5~10년 점검의 대점검까지 자체 수행
※ 10년점검 및 캐피탈 연장점검은 제작사 권한으로 제작사 정비사들이 수행
엔진, 기어박스, 로터마스트 등 중요부속교환 등 모든 점검은 자체수행 가능

산림항공본부 정비조직의 구성 및 임무

  • 정비기획팀 : 정비 예산편성 및 운용, 신규헬기 도입 및 사업관리, 정비사 교육훈련, 정비분야 정책수립, 항공기 위탁정비, 정비규정 제,개정
  • 기술통제팀 : 정비 기술자료 관리, 정비 계획 및 조정, 항공기 정비관련 컨트롤 타워, 산림항공기 정비 검사프로그램 관리
  • 운항정비팀 : 항공기 임무지원, 100시간 이하 항공기 정시점검, 정비 안전담당관, 정비의 확인 서명 정비기록문서 유지관리, 결함조치 시험비행 및 기능비행
  • 대점검 1팀 : 기체 점검 및 주요부품 교환, 이동정비 지원(기체/엔진/주기점검), 수리 및 개조 수행, 기타 운영기관에서 실시 불가한 정비
  • 대점검 2팀 : 항공기 전기전자 및 판금 기체 수리분야, 이동정비 지원, 수리 및 개조 수행, 기타 운영기관에서 실시 불가한 정비
  • 자재관리팀 : 항공기 부품 소요계획 수립, 부품의 재고 및 불출, 산림항공지원포탈 자재분야 등록관리, 수리순환품 관리, 시한성 품목 관리
  • 각 관리소 항공정비팀 : 항공기 임무지원, 100시간 이하 항공기 정시점검, 정비 안전담당관, 정비의 확인 서명 정비기록문서 유지관리, 결함 조치 시험비행 및 기능비행
만족도조사
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?
만족도조사선택